-
[새소식] 홍성욱 교수, '미래는 오지 않는다' 인터뷰
2021-03-20 l 조회수 6886
"우리가 미래에만 너무 많은 관심을 가지면 사실은 현재를 잊어버리게 돼요." "지금 해결할 수 있는, 해결해야만 하는 그런 문제들이 있는데, 미래에 대해서 너무 많은 관심을 갖는 것은 그런 문제에서 시선을 돌리게 만드는 결과를 갖고 오지 않나 생각합니다."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위한, 그들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이야기를 같이 상상해내고 그 이야기들을, 담론으로 만들어 나가는 게 중요합니다."
-
[새소식] 김재범 교수팀, DNA 메틸화에 의한 지방세포 크기 제어기전 규명
2021-03-10 l 조회수 3332
김재범 교수 연구진은 비만 시 관찰되는 거대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제어기전을 규명함으로써 거대 지방세포의 축적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대사질환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했다.
-
[새소식] 공영윤 교수 공동 연구팀, 노인성 근감소증 발생기전 규명
2021-03-09 l 조회수 3301
공영윤 생명과학부 교수는 하용찬 중앙대 교수 연구팀과 한국연구재단과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진행, 세계적인 학술지인 에 지난달 26일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
2021-03-07 l 조회수 2832
"비판적 서평을 쓰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고 반론 기회를 줘서 서로 적극적으로 논쟁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
[새소식] 이준호 교수 연구팀, 세포 노화 타이머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발견
2021-02-18 l 조회수 3353
이준호 교수 연구팀이 아주대 생명과학과 박대찬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로 생쥐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포유류 염색체 말단의 텔로미어가 새롭게 재구성되는 구조를 발견했다.
-
[새소식] 안광석 교수팀, 점핑유전자에 의한 인류 진화 기전 규명
2021-02-15 l 조회수 3758
안광석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점핑유전자(Jumping Gene) 중 유일하게 스스로 복제 가능한 유전자인 'L1(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1)'이 어떻게 유인원 유전체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됐는지를 규명했다.
-
[새소식] 석영재 교수 연구팀, 비브리오균의 과당 수송 유전자 전사 조절기전 규명
2021-02-02 l 조회수 3037
서울대학교(총장 오세정)는 석영재 교수 연구팀이 김민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과 비브리오 균의 전사조절인자 FruR의 새로운 전사조절 기전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
2021-01-28 l 조회수 2688
"이 간섭 현상이 예쁜꼬마선충에서는 바이러스의 활동을 방해 하는 것을 확인했지만, 사람을 상대로는 연구가 부족해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변종 바이러스가 수시로 나오는 가운데 우리가 이를 통해 선천적 항바이러스 기작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한다면 인류에 더 도움이 될 것"
-
2021-01-26 l 조회수 3405
3월 1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리는 아산의학상 시상식에 김진홍 교수가 아산의학상 만 49세 이하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
[새소식] 서평지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홍성욱 교수 인터뷰
2021-01-18 l 조회수 2898
서평에 대한 독자들의 광범위한 갈증을 느꼈어요. 책이라는 게 결국 오랫동안 독자들 사이에서 회자 될 때 살아나는 건데 서평은 그 길라잡이 역할을 해 주잖아요. 서평으로 우리 사회에서 책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가 마련되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