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논단] 49년 전 스타트업 제넨텍, 재조합 인슐린 개발 '바이오 시대' 열다
2025-02-13 l 조회수 31
김선영 명예교수님께서 신약개발과 스타트업에 관한 칼럼을 기고하셨습니다.
-
[새소식] 김윤희 석박통합과정생 (신근유 교수님 연구실),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은상
2025-02-13 l 조회수 139
신근유 교수님 연구실의 김윤희 석박통합과정생이 ‘균일하고 성숙한 인간 뇌 어셈블로이드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인간 조현병의 발생 기작 규명(Creation of uniform and mature forebrain assembloids for modeling human schizophrenia brain development)’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작성,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은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새소식] 백민경 교수 인터뷰 “신약 개발하는 한국형 AI 도전”
2025-02-07 l 조회수 168
백민경 교수님께서 지난 노벨 화학상과 관련하여 앞으로의 목표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하셨습니다.
-
[새소식] 생명과학부 백민경 교수 연구팀-LG, 공동연구계약 체결
2025-02-06 l 조회수 166
백민경 교수님 연구팀에서 LG AI연구원과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새소식] Foldseek-Multimer로 생명체의 분자 기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다
2025-02-06 l 조회수 171
마틴 스타이네거(Martin Steinegger) 서울대 교수 연구진과 에마뉘엘 레비(Emmanuel Levy)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 연구진은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고, 단백질 복합체 구조를 겹쳐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할 수 있는 ‘폴드시크-멀티머(Foldseek-Multimer)’를 개발했습니다.
-
[새소식] 생명과학부 김진홍 교수 연구팀, 퇴행성관절염 근본 원인 규명
2025-02-04 l 조회수 208
김진홍 교수님 연구팀에서 과도하게 쌓인 UDP-GlcNAc는 GATA4를 안정화하고, 안정화된 GATA4는 노화 관련 염증반응을 유도해 관절염을 악화시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나아가 GATA4 단백질의 안정화를 막거나 단백질 자체를 제거하면 퇴행성관절염의 진행을 늦출 수 있음을 제시하였습니다.
-
2025-01-14 l 조회수 389
2025년 을사년을 맞이하여 생명과학부 구성원들과 함꼐 신년교례회를 진행하였습니다.
-
[새소식]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팀, 인공지능으로 면역항암 치료용 새로운 효소 발굴
2025-01-03 l 조회수 443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팀에서 단백질 언어 모델(Protein Language Model)을 사용한 AI 알고리즘 '시크랭크(SeekRank)'를 통해 고활성 키뉴레니나아제(Kynureninase)를 발굴하였습니다.
-
[새소식] 백성희 교수팀, 재생 줄기세포와 장 줄기세포 상호작용 규명
2024-12-26 l 조회수 601
백성희 교수팀이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 김종경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김익수 가천대 의대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장 줄기세포의 복구와 재생을 이끄는 핵심 단백질 'PHF16'의 기능과 재생줄기세포, 장 줄기세포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였습니다.
-
[새소식] 2024 SNU Bio Symposium 개최
2024-12-18 l 조회수 554
지난 12월 18일(수)에 38동 글로벌공학교육센터 5층에서 2024 SNU Bio Symposium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