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소식] 안광석 교수팀, 점핑유전자에 의한 인류 진화 기전 규명
2021-02-15 l 조회수 3589
안광석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점핑유전자(Jumping Gene) 중 유일하게 스스로 복제 가능한 유전자인 'L1(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1)'이 어떻게 유인원 유전체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됐는지를 규명했다.
-
[새소식] 석영재 교수 연구팀, 비브리오균의 과당 수송 유전자 전사 조절기전 규명
2021-02-02 l 조회수 2868
서울대학교(총장 오세정)는 석영재 교수 연구팀이 김민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과 비브리오 균의 전사조절인자 FruR의 새로운 전사조절 기전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
2021-01-28 l 조회수 2503
"이 간섭 현상이 예쁜꼬마선충에서는 바이러스의 활동을 방해 하는 것을 확인했지만, 사람을 상대로는 연구가 부족해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변종 바이러스가 수시로 나오는 가운데 우리가 이를 통해 선천적 항바이러스 기작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한다면 인류에 더 도움이 될 것"
-
2021-01-26 l 조회수 3210
3월 1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리는 아산의학상 시상식에 김진홍 교수가 아산의학상 만 49세 이하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
[새소식] 서평지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홍성욱 교수 인터뷰
2021-01-18 l 조회수 2682
서평에 대한 독자들의 광범위한 갈증을 느꼈어요. 책이라는 게 결국 오랫동안 독자들 사이에서 회자 될 때 살아나는 건데 서평은 그 길라잡이 역할을 해 주잖아요. 서평으로 우리 사회에서 책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가 마련되면 좋겠어요
-
[새소식] 안광석 교수, '코로나 3차 대유행과 백신' 콘퍼런스 기조연설
2021-01-15 l 조회수 2465
영국에서 지난해 9월 발견된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이하 B117)가 전파력이 증가했다는 건 동물모델 실험이 이뤄져 봐야 정확히 알 수 있다. 아마 전파력이 얼마 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고, 병독성은 되레 약화 됐을 가능성이 있다.
-
[새소식] 김종서, 김빛내리 교수 공동연구팀, 코로나 백신 만드는 mRNA 원리 설명할 새 분석방법 개발
2021-01-11 l 조회수 3616
이번에 개발한 방법을 통해 밝혀낸 RNA와 단백질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생명체 발생과정에서 RNA 결합단백질의 숨은 원리를 연구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며 “아데닌 꼬리가 없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을 찾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
[새소식] 강봉균 교수, 미국 신경과학회 SfN Global Connectome 미팅 기조강연
2021-01-08 l 조회수 2899
2021년 1월 11일(월)- 13일(수)에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미국 신경과학회 SfN Global Connectome 미팅에서 우리 학부 강봉균 교수가 아래와 같이 기조강연 강연자로 초청받았다.
-
2021-01-08 l 조회수 2547
우리 학부 강봉균 교수가 2020년 11월에 개최된 한국뇌신경과학회에서 장진 학술상을 수상했다. 장진 학술상은 (故)장진 박사님을 기리고자 뇌신경과학 분야에서 창의적 업적과 더불어 뇌신경과학의 발전에 공헌한 한국뇌신경과학회 회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
[새소식] 황대희 교수 공동연구팀, 퇴행성 뇌질환의 초기 치료 가능성 열어줄 병리 모델 제시
2021-01-06 l 조회수 3308
황대희 교수 공동연구팀, 퇴행성 뇌질환의 초기 치료 가능성 열어줄 병리 모델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