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4-10 l 조회 36
초여름 북한산 인근 지역을 뒤덮었던 러브버그도 새로운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남중국이나 타이완, 오키나와 등에서 유입된 걸로 추정됐지만, 이번에 처음 이뤄진 유전체 비교 분석 결과 훨씬 더 북쪽인 중국 칭다오 등 산둥반도 지역 개체와 가장 비슷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2024-07-07 l 조회 1299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던 숲모기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
2023-07-07 l 조회 1345
Jonghwan, how do you explain the recent rampant presence of bugs in communities here and perhaps, elsewhere?
-
2023-07-03 l 조회 1567
2023년 7월 1일자 생방송
-
2023-06-16 l 조회 1364
지난해 서울 서북부 지역에 대량 발생해 민원이 빗발쳤던 일명 '러브 버그'. 서울대 연구팀이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일본 오키나와와 중국 남부에 주로 서식하는 '붉은등우단털파리'란 사실을 처음 밝혀냈습니다. 열대지방 곤충이 서울에서 대량 발생한 것은 기후변화 영향이 큰데, 올해도 지난달 애벌레가 발견됐습니다.
-
2022-12-21 l 조회 2288
우리는 필연적으로 많은 곤충들과 함께 살아간다. 곤충이 해충이 된 역사적인 배경과 유전학적인 배경을 통하여 왜 일부 곤충이 해충이 되었는가를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곤충은 필연적으로 식물과의 공진화를 통해서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한 동물이 되었다. 그럼 그 중에서도 가장 성공한 곤충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 성공비결은 무엇일까? 곤충의 성공 사례를 통해 생물 다양성에서 중요한 진화적 사건을 이해해본다.
-
2022-08-23 l 조회 1758
신 교수는 “(털파리는) 유충 시기엔 식물성 부식질을 섭취하고, 성충은 꽃을 찾아다니면서 수분을 매개해줘 ‘익충(益蟲)’이라 부를 수 있다”면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