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소개

지방세포 및 에너지대사 연구실 연구 개요

에너지대사 항상성 조절과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방조직, 간 췌장, 신장 등과 같은 대사조직들에서 지방대사와 당대사가 통합적으로 조절되는 과정과 에너지 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성질환의 발병 메커니즘을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세포 주 모델과 특정 유전자가 결손되거나 과발현된 다양한 생쥐 모델 그리고 유전자 스크리닝이 용이한 예쁜꼬마선충 등을 연구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연구 요약

지방조직은 체내 에너지를 저장하는 백색지방조직과 열을 생성하는 갈색지방조직으로 구분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지방세포의 에너지 저장과 분해를 포함한 에너지 전환과정을 분자수준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지방조직 내 염증반응을 포함한 면역반응 변화로 인한 대사성질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지방세포 변화를 통한 지방조직 리모델링 연구

지방소체는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등 지방대사물을 축적하고 있으며 신호전달 의존적으로 이들 지방대사물을 분해하는 세포 내 소기관입니다. 지방소체와 지방대사는 정교한 조절과정을 필요로 하며, 지방소체 표면단백질과 다양한 단백질들이 그 과정에 참여합니다. 본 연구실은 지방소체 표면단백질의 역할과 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들의 역할을 밝혀나가고 있습니다.

  • 비만으로 인한 염증반응 연구

비만 시 다양한 종류의 면역세포들이 지방조직 안으로 침투하여 만성 염증을 유도합니다. 지방조직 내 염증반응 증가는 당대사 및 지방대사의 이상과 함께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당뇨병을 일으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당뇨병 발병원인 중 하나인 지방조직 내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방조직 내 면역세포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지방대사 및 당대사의 이상을 유도하는지를 분자수준에서 조사하고 있습니다.

  • 에너지불균형시 대사질환 연구

개체 수준에서 에너지 항상성이 유지되기 위해서 지방조직은 여러 대사조직들과 활발히 상호작용을 합니다. 혈중 지방대사물이 증가할 경우 지방독성이 유도되어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 내 베타세포의 기능은 손상을 입고 궁극적으로 세포사멸이 유도됩니다. 또한 간과 신장 등에 과도한 지방대사물이 축적될 경우에도 기능이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지방대사 이상과 함께 지방 및 당대사 이상으로 인한 암 발생과정에 대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실험실 리뷰논문

  • Y. J. Park, S. M. Han, J. Y. Huh, J. B. Kim*. Emerging roles of epigenetic regulation in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 J. Biol. Chem, 297:101296. 2021.11
  • Park, J. H. Sohn, S. M. Han, Y. J. Park, S. S. Choe, and J. B. Kim*. Adipocytes are the control tower that manages adipose tissue immunity by regulating lipid metabolism. Front. Immunol., 11:598566, 2021.01
  • S. S. Choe and J. B. Kim*. Hypoxia-inducible factors: new strategies for treatment of obesity-induced metabolic disease. Postgrad. Med. J. (BMJ Journals), 96:451-452, 2020.08.
  • J. S. Han, K. H. Han, and J. B. Kim*. Peroxisome-PEX5 controls fasting-induced lipolysis. Contact, 3:1-4, 2020.06.
  • I. Hwang, and J. B. Kim*. Two faces of white adipose tissue with heterogeneous adipogenic progenitors. Diabetes Metab J., 43(6):752-762, 2019. 12.
  • Y. J. Park, J. Park, J. Y. Huh, I. J. Hwang, S. S. Choe, J. B. Kim*. Regulatory Roles of Invariant Natural Killer T Cells in Adipose Tissue Inflammation: Defenders Against Obesity-Induced Metabolic Complications. Front Immunol., 9:1311, 2018. 06.
  • J. Y. Huh, Y. J. Park, and J. B. Kim*. Adipocyte CD1d Determines Adipos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Adipocyte, 6:1-8, 2018. 03.
  • Y. J. Park, S. S. Choe, J. H. Sohn and J. B. Kim*. The role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in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obesity. Adipocyte, 6:147-153, 2017.04.
  • H. Jang, G. Lee, and J. B. Kim*. SREBP1c-CRY1 axis suppresses hepatic gluconeogenesis upon insulin. Cell Cycle, 16:139-140, 2017. 01.
  • S.S Choe, J.Y.Huh, I.J. Hwang, J.I. Kim, J. B. Kim*. Adipose Tissue Remodeling: Its Role in Energy Metabolism and Metabolic Disorders. Front Endocrinol., 7:30, 2016.04.
  • J. Y. Huh, Y. J. Park, M. Ham, and J. B. Kim*. Crosstalk between Adipocytes and Immune Cells in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Metabolic Dysregulation in Obesity. Mol. Cells, 37:365-71. 2014.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