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10-27 l 조회 373
김종서 교수가 "단백질-핵산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매핑을 위한 차세대 질량분석플랫폼 개발" 이라는 주제로 2021년 서울대 창의선도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2021-10-22 l 조회 325
저희 연구실에서 RNA-단백질간 동적 상호작용을 핵산염기별로 단일 아미노산 수준의 고해상도로 분석하는 신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RNA-단백질간의 결합의 원리 규명에 기여할 것이 기대됩니다 |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2021.10.15)
-
2021-09-11 l 조회 284
저희 연구실과 KAIST 의과학대학원 서재명 교수님,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현우 교수님의 3자 공동연구를 통해 생체 내 조직 특이적 분비 단백질 표지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질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 발굴 등의 효과가 기대됩니다 |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2021.09.01)
-
2021-04-28 l 조회 645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RNA에 직접 결합하여 증식을 제어하는 단백질들을 발견함 | 연구결과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와 국제백신연구소와 공동으로 수행함 | 4월 27일 Molecular Cell에 게재됨
-
2021-01-18 l 조회 777
포름알데히드 교차결합에 기반한 신규 RNA-단백질 상호작용 규명 방법 개발 (주저자: 나용우) | Nucleic Acids Research 논문 게재 (2020.12.17)
-
2020-12-27 l 조회 723
저희 랩에서 2020년 NSMB에 출간한 RBS-ID 논문이 2020년 생명과학부문 연구성과 중 Top5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Bric 주관)
-
2020-06-02 l 조회 692
세포 내 신호전달의 허브인 MAM (mitochondria associated membrane)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발견 | MAM 형성의 핵심인자 발견으로 신경퇴행성질환 연구에 응용 기대 |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호에 게재
-
2017-04-10 l 조회 594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 막단백질 구조 밝힌다 | 과산화효소 반응 이용, 신약 개발 표적될 단백질 이해 도와 | JACS 논문 게재 (2017.04.10)
-
2020-06-09 l 조회 815
IBS "불산 이용해 RNA 결합 자리 고해상도로 측정" | 유전자 발현 조절 핵심 인자인‘RNA 결합단백질’기작 규명 기대 | NSMB 논문 게재 (202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