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Notice

  • 2025-09-24 l 조회 110
    저희 연구실은 화학부 이현우 교수님 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막 사이 공간의 크리스타 내강 단백체를 질량분석법 방법으로 프로파일링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 세포내공간은 주변부 공간과 단백체 수준에서 구분할 방법이 없었기에 이 공간 특이적인 단백체의 세포내 역할을 연구하기 어려웠는데, 본 연구진의 초고해상도 근접분자 표지 기술인 ICAX 기술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크리스타 내강 단백체들의 세포내 기능이 하나하나 밝혀질 것이 기대됩니다. |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2025.08.20)
  • 2025-09-23 l 조회 119
    오랜만에 찾아 읽어보니 새롭네요. 자연대 신임교수 인터뷰 내용을 랩 홈페이지에 실어봅니다.
  • 2025-03-08 l 조회 656
    김종서 교수가 분에 넘치게도 2025년 자연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2024-02-29 l 조회 2282
    2018년-2021년 3년동안 우리 연구실에서 동고동락한 배종우 박사(김빛내리 교수님 지도)가 RNA-protein interaction에 대한 질량분석법 개발 연구를 토대로 생명과학부 최우등논문상을 수상하며 졸업하게 되었습니다. 심히 축하합니다.
  • 2023-10-27 l 조회 1781
    저희 연구실은 화학부 이현우 교수님 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마우스 모델에서 조직 특이적인 미토콘드리아 단백체를 프로파일링하였으며, RTN4IP1(OPA10)이 기질에 위치한 단백질임을 규명함과 동시에 코엔자임 Q 합성 경로에서 매우 중대한 역할을 수행함을 지질대사체 질량분석, 생화학 반응 및 초파리 모델을 통해 구체적으로 규명하였습니다. 이번 연구는 인체내 CoQ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의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Nature Chemical Biology 논문 게재 (2023.10.27)
  • 2021-10-27 l 조회 2630
    김종서 교수가 "단백질-핵산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매핑을 위한 차세대 질량분석플랫폼 개발" 이라는 주제로 2021년 서울대 창의선도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2021-10-22 l 조회 2858
    저희 연구실에서 RNA-단백질간 동적 상호작용을 핵산염기별로 단일 아미노산 수준의 고해상도로 분석하는 신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RNA-단백질간의 결합의 원리 규명에 기여할 것이 기대됩니다 |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2021.10.15)
  • 2021-09-11 l 조회 2907
    저희 연구실과 KAIST 의과학대학원 서재명 교수님,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현우 교수님의 3자 공동연구를 통해 생체 내 조직 특이적 분비 단백질 표지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질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 발굴 등의 효과가 기대됩니다 |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2021.09.01)
  • 2021-04-28 l 조회 1941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RNA에 직접 결합하여 증식을 제어하는 단백질들을 발견함 | 연구결과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와 국제백신연구소와 공동으로 수행함 | 4월 27일 Molecular Cell에 게재됨
  • 2021-01-18 l 조회 2277
    포름알데히드 교차결합에 기반한 신규 RNA-단백질 상호작용 규명 방법 개발 (주저자: 나용우) | Nucleic Acids Research 논문 게재 (2020.12.17)